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회의원 의석수는 어떻게 정해지고 변화하는가?

by akakak321 2024. 5. 9.
반응형

국회의원 의석수는 우리나라 정치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국회의원 의석수는 국민의 대표성과 정당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국회의원 의석수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인구 변화, 행정구역 재편, 선거제도 개혁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회의원 의석수가 어떻게 정해지고 변화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국회의원의석수-국회의사당이보이는곳에서두명이토론하는썸네일이미지

 

국회의원 의석수의 기본 원칙

 

국회의원 의석수는 헌법과 선거법에 따라 정해집니다. 헌법 제41조에 따르면, 국회의원은 300명으로 정하되, 그중 246명은 지역구에서, 54명은 비례대표로 선출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선거법 제11조에 따르면, 지역구 의석수는 인구 비례로 배분하되, 각 시·도별로 최소 3개의 의석을 보장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비례대표 의석수는 정당의 득표율에 따라 배분하되, 3% 이상의 득표율이나 5석 이상의 지역구 의석을 얻은 정당에 한하여 배분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국회의원 의석수의 변화 과정

 

국회의원 의석수는 우리나라 역사와 함께 변화해 왔습니다. 최초의 국회의원 의석수는 1948년 제헌국회에서 200명이었습니다. 그 후 1952년 제2대 국회에서 210명으로 증가하고, 1960년 제3대 국회에서 233명으로 증가했습니다.

 

1963년 제4대 국회에서 175명으로 감소하고, 1967년 제5대 국회에서 204명으로 증가했습니다. 1971년 제6대 국회에서 219명으로 증가하고, 1973년 제7대 국회에서 219명으로 유지되었습니다.

 

1979년 제8대 국회에서 231명으로 증가하고, 1981년 제9대 국회에서 276명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1985년 제10대 국회에서 299명으로 증가하고, 1988년 제11대 국회에서 299명으로 유지되었습니다.

 

1992년 제12대 국회에서 299명으로 유지되고, 1996년 제13대 국회에서 299명으로 유지되었습니다. 2000년 제14대 국회에서 273명으로 감소하고, 2004년 제15대 국회에서 299명으로 증가했습니다.

 

2008년 제16대 국회에서 299명으로 유지되고, 2012년 제17대 국회에서 300명으로 증가했습니다. 2016년 제18대 국회에서 300명으로 유지되고, 2020년 제19대 국회에서 300명으로 유지되었습니다.

 

 

국회의원 의석수의 현재 상황과 논의

 

현재 국회의원 의석수는 300명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그중 253명은 지역구에서, 47명은 비례대표로 선출됩니다. 하지만 인구 변화와 행정구역 재편에 따라 지역구 의석수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은 인구가 감소하면서 의석수가 줄었지만, 경기도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의석수가 늘어났습니다. 이로 인해 서울의 한 의석당 인구는 약 25만 명이지만, 경기도의 한 의석당 인구는 약 35만 명입니다.

 

이는 국민의 대표성을 해치는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또한 비례대표 의석수의 적정성과 배분 방식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비례대표 의석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방안, 정당별로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역별로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하는 방안, 비례대표 의석에 대한 선거구와 정당 목록을 동시에 표시하는 방안 등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논의는 선거제도 개혁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정치적 선전과 언론의 역할

정치적 선전이란 정치적 목적이나 이익을 위해 특정한 인식이나 태도, 행동을 유도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해 공개적으로 정보나 의견을 전파하는 활동입니다. 정치적 선전은 정치적 성향이나 입

political-science.tistory.com

 

 

 

정치적 의사 결정 과정에서의 윤리, 왜 중요하고 어떻게 실천할까?

정치적 의사 결정 과정이란,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들을 비교하고, 최선의 선택을 하고, 그에 따른 행동을 취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정치적 행위자들이 자신의

political-science.tistory.com

 

마치며

 

국회의원 의석수는 우리나라 정치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국회의원 의석수는 국민의 대표성과 정당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국회의원 의석수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인구 변화, 행정구역 재편, 선거제도 개혁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회의원 의석수가 어떻게 정해지고 변화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국회의원 의석수의 기본 원칙, 변화 과정, 현재 상황과 논의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국회의원 의석수는 300명으로 정하되, 그 중 246명은 지역구에서, 54명은 비례대표로 선출한다.
  • 국회의원 의석수는 1948년부터 2020년까지 200명에서 300명까지 변화했다.
  • 국회의원 의석수는 인구 변화와 행정구역 재편에 따라 지역구 의석수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 국회의원 의석수는 비례대표 의석수의 적정성과 배분 방식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회의원 의석수는 우리나라 정치의 핵심적인 요소이므로,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