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북한은 선군정치를 표방하며 군사적인 힘을 강조하는 나라입니다. 그렇다면 북한의 군인들은 어떤 계급 체계를 가지고 있을까요? 북한 계급 순서는 우리나라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북한 군인들의 생활과 권력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북한 계급 순서
북한 계급 | 우리나라 계급 | 비고 |
대원수 | 원수급 | 김일성이 사망한 후 공석 |
원수 | 원수급 | 김정일, 김정은이 임명 |
차수 | 대장 | 2010년 신설 |
대장 | 중장 | |
상장 | 소장 | |
중장 | 준장 | |
소장 | 대령 | |
대좌 | 중령 | |
상좌 | 소령 | |
중좌 | 대위 | |
소좌 | 중위 | |
상위 | 준위 | |
중위 | 부사관 | |
소위 | 병장 |
반응형
북한 계급의 특징
- 북한은 차수라는 계급을 2010년에 신설했습니다. 차수는 원수와 대장 사이에 위치하며, 북한의 최고 군사 지도자인 김정은의 동생 김여정이 이 계급에 해당한다고 추정됩니다.
- 북한의 하전 사들은 서방 기준으로 보면 일반 병에 해당합니다. 대부분의 징집병들은 중사 계급에서 분대장을 하다가 제대하게 되며, 6~7% 정도만이 특무상사까지 진급해 사관장을 맡게 됩니다. 사관장은 행정보급관과 비슷한 개념으로, 소~대대 하전사 전체를 책임지므로 웬만한 군관보다 위상이 높습니다.
- 북한의 군관들은 5~7년 동안 하전사 생활을 한 후 군관학교에 들어갑니다. 2년제 군관반을 마치면 소위, 4년제 대학반을 마치면 중위가 됩니다. 이러한 군관 임관 제도는 하전사들에 대한 이해도와 지휘 통솔 능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전 사들간의 악습을 단속하기는커녕 동조하거나 조장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대한민국 의전서열의 기준과 순위, 그리고 대통령 권한대행 순서
대한민국 의전서열이란, 공식적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국가에서 주관하는 행사나 의식에서 각 요직의 순위와 예우를 정하는 기준을 말합니다. 의전서열은 입법, 행정, 사법부의 수반과 선
political-science.tistory.com
정치학에서 대통령제 vs. 의원내각제
정치학에서는 국가의 통치체제를 분류하는 기준 중 하나로 행정부의 구성과 권한을 살펴본다. 행정부의 구성과 권한에 따라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라는 두 가지 주요한 통치체제가 있다. 이 두
political-science.tistory.com
북한 계급 순서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북한은 선군정치를 표방하며 군사적인 힘을 강조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북한의 군인들은 우리나라와는 다른 계급 체계와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군인들은 어떤 권력과 책임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문제와 고민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