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팬덤정치란 무엇이고 왜 문제인가?

by akakak321 2024. 5. 2.
반응형

요즘 정치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팬덤정치’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팬덤정치는 특정 정치인이나 정당을 열성적으로 지지하는 사람들의 행태를 뜻하는 신조어로, 2022년 대한민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팬덤정치는 정치에 대한 열정과 애정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정치적 이념이나 가치보다는 개인적 감정이나 정체성을 우선시하는 현상으로, 민주주의와 상식에 반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팬덤정치의 정의와 원인, 그리고 그로 인한 부작용과 해결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팬덤정치-국회의사당이보이는곳에서두사람이토론하는썸넫일이미지

 

팬덤정치의 정의

 

팬덤정치란 팬덤과 정치를 합성한 단어로, 특정 정치인이나 정당을 열성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 또는 그러한 문화현상을 뜻합니다. 팬덤은 영어로 광신자를 뜻하는 퍼내틱 (Fanatic)의 ‘팬 (Fan)’과 영지 (領地)/나라를 뜻하는 ‘덤 (-dom)’의 합성어로, 특정한 인물이나 브랜드를 열성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 깊이 빠져드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팬덤정치는 이러한 팬덤 문화가 정치 분야로 확산된 것으로, 자신이 흠모하는 정치인에 대해 절대적 지지를 보내며 그를 '오류 없는 절대자’로 신화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팬덤정치는 정치적 이념이나 가치보다는 개인적 감정이나 정체성을 중심으로 정치적 판단을 내리고, 상대파에 대해 혐오와 증오를 퍼붓는 공격까지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팬덤정치의 원인

 

팬덤정치가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기술의 발전과 정보의 확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과 SNS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인물이나 분야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팬덤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확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팬덤 커뮤니티는 자신들의 성향과 취향에 맞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외부의 비판이나 쓴소리는 차단하거나 반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팬덤은 진입장벽이 높고 폐쇄적인 성향을 갖게 되며, 팬덤 안의 팬덤까지 만들어 내는 수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팬덤 문화는 정치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정치적 성향이 강하고 갈등이 심한 사회로, 팬덤정치가 쉽게 번성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팬덤정치의 문제점

 

팬덤정치는 정치에 대한 열정과 애정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정치적 이념이나 가치보다는 개인적 감정이나 정체성을 우선시하는 현상으로, 민주주의와 상식에 반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 팬덤정치는 정치인이나 정당의 실수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옹호하거나 변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한 비판이나 개선을 방해하고, 정치적 책임과 투명성을 저해합니다.

 

  • 팬덤정치는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한 비판이나 반대 의견을 적대적으로 받아들이고, 혐오와 증오를 퍼붓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정치적 대화와 타협을 어렵게 하고, 정치적 갈등과 분열을 심화합니다.

 

  • 팬덤정치는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한 지지를 팬덤의 규모나 활동으로 측정하고, 팬덤의 이익을 정치의 이익으로 혼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정치적 성과와 공공의 복지를 무시하고, 팬덤의 이기심과 편견을 우선시합니다.

 

팬덤정치의 해결방안

 

팬덤정치는 정치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이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정치에 대한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행태로 이어지는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팬덤정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합니다.

 

  • 팬덤정치를 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해 비판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을 갖고, 그들의 실수나 잘못을 인정하고 개선을 요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해 존중하고 이해하고, 정당한 비판이나 반대 의견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팬덤정치를 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해 감정이나 정체성보다는 이념이나 가치를 중심으로 정치적 판단을 내리고, 정치적 성과와 공공의 복지를 우선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인이나 정당의 이익이 아니라, 국민의 이익과 민주주의의 원칙을 지킬 수 있어야 합니다.

 

  • 팬덤정치를 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팬덤 커뮤니티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정보와 의견을 수집하고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팬덤 커뮤니티 안에서도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토론하고, 다른 팬덤 커뮤니티와도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팬덤정치를 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인이나 정당을 팬덤의 대상이 아니라, 정치의 주체로 인식하고, 그들에게 적절한 기대와 요구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한 팬덤 활동을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팬덤 활동이 정치 활동이나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마치며

 

팬덤정치는 정치에 대한 열정과 애정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정치에 대한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행태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팬덤정치는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한 비판이나 개선을 방해하고, 정치적 책임과 투명성을 저해하며, 정치적 대화와 타협을 어렵게 하고, 정치적 갈등과 분열을 심화하며, 정치적 성과와 공공의 복지를 무시하고, 팬덤의 이기심과 편견을 우선시하는 문제점을 야기합니다.

 

따라서 팬덤정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팬덤정치를 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정치적 판단과 행동에 대해 비판적이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이고 책임감 있고 민주적이고 협력적이고 적절한 태도를 갖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팬덤정치를 해결하는 것은 단순히 팬덤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팬덤을 건강하고 성숙하고 다양하고 창의적인 정치 문화로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팬덤정치를 해결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몫이며, 우리 모두의 이익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