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의 학생과 시민들이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에 대항하여 일으킨 민주 항쟁이었습니다. 이 혁명은 3.15 부정 선거에 반발한 마산 의거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이승만의 하야와 망명으로 독재를 종식시켰습니다.
그러나 이 혁명은 준비되지 않은 혁명이었기 때문에 완성되지 못한 채 군사 쿠데타의 길을 터주었습니다. 오늘은 4.19 혁명의 배경, 원인, 전개, 결과, 의의와 평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19 혁명의 배경
- 1950년대 말, 반공 이념과 경찰력에 의존하던 이승만식 독재가 한계를 드러냄
- 도시지역과 지식인, 학생 등 식자층에서 민주주의에 대한 갈망이 높아짐
- 민주화 운동의 기반: 민주적 교육, 급속한 도시화, 대중매체의 확산, 야당의 활동
- 자유당의 약세: 도시에서의 부정선거 저지, 준봉투표의 감퇴, 야당의 지지 증가
- 자유당의 강압: 공무원의 동원, 반공청년단의 폭력, 경찰의 개입, 투표조작
4.19 혁명의 원인
- 1960년 3월 15일,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대대적인 부정선거
- 민주당 대통령 후보 조병옥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이승만의 재선이 확정됨
- 부통령 선거에서 현직 부통령 장면과 이승만의 후보 이기붕 사이의 치열한 경합
- 부정선거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시위와 정부의 강경진압
- 마산 의거에 참여한 김주열의 시신 발견과 전국적으로 퍼지는 항거운동
4.19 혁명의 전개
- 4월 18일, 고려대 학생들이 시위 후 귀교 중 피습을 당함
- 4월 19일,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학생들이 시위에 참여하고 경무대로 진입
- 경찰이 시위대에 발포하여 다수의 희생자 발생, 시위대가 무장하여 경찰과 총격전
- 전국민적 저항과 군지휘부의 무력동원 거부에 봉착한 이승만의 하야 발표
- 4월 25일과 26일, 민주당과 시민단체들이 과도정부 수립을 요구하는 시위
4.19 혁명의 결과
- 4월 26일, 이승만이 하와이로 망명하고, 장면이 부통령직을 사퇴함
- 4월 28일, 과도정부위원회가 구성되고, 윤보선이 과도대통령으로 선출됨
- 6월 15일, 제2공화국이 출범하고, 장면이 국무총리로 취임함
- 7월 29일, 새로운 헌법이 공포되고, 국회가 참의원과 민의원으로 구성됨
- 8월 16일, 제5대 대통령과 부통령 선거가 실시되고, 윤보선과 장면이 당선됨
4.19 혁명의 의의와 평가
-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 운동으로 국민의 민주주의 의식과 참여를 높임
-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적 헌법과 제2공화국을 탄생시킴
- 하지만 준비되지 않은 혁명으로 완성되지 못하고, 5.16 쿠데타로 민주주의가 탈선했음
-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성과와 한계를 돌아보고, 민주주의를 수호하고 발전시키는 데 교훈을 얻음
독재정치란 무엇이고 어떤 특징과 종류가 있는가?
독재정치는 한 사람이나 소수의 집단이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적 상태를 말합니다. 독재정치는 민주주의와 대조되는 형태로, 시민의 권리와 자유를 무시하고, 반대 의견을 억압하고,
political-science.tistory.com
도둑 정치의 위험과 대책: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위해 알아야 할 것들
정치인들이 국민의 세금을 횡령하고, 부패하고, 권력을 남용하는 것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아마도 분노아 실망, 무관심과 절망 등의 감정이 들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도둑 정치라고
political-science.tistory.com
4.19 혁명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이 혁명은 국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갈망과 용기를 보여주었고, 독재정권을 종식시키고, 새로운 헌법과 정부를 수립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혁명은 미완성된 혁명이었고, 곧바로 군사 쿠데타에 의해 민주주의가 탈선했습니다.
이 혁명의 성공과 실패를 깊이 있게 반성하고, 민주주의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데 우리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4.19 혁명의 숭고한 정신과 희생을 기리며, 이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